<“Vaga solo como el rinoceronte” en Sutta-Nipata (años 300 a.C., India)> (Tr. Alejandro Córdova)
Dejando a un lado el garrote hacia todos los seres, sin hacer daño a ninguno de ellos, que uno no anhele a hijos ni amigos, sino vaga solo como el rinoceronte.
El afecto surge de la intimidad y de ello resulta la pena. Al darse cuenta que el mal surge del afecto, vaga solo como rinoceronte.
Ciertamente nosotros elogiamos el valor de la camaradería. Uno debería asociarse con iguales o superiores. Sin ellos, lleva una vida intachable y vaga sólo como un rinoceronte.
Variados, dulces y encantadores son los placeres. Ellos seducen el corazon en diversas formas. Reconociendo su amenaza, vaga solo como un rinoceronte.
Frío, calor, hambre, sed, viento, sol, mosquitos y serpientes –vence a todos ellos y vaga solo como un rinoceronte.
En el momento oportuno uno debería cultivar amor benevolente, ecuanimidad, compasión, liberación, regocijo altruista, y sin ser afectado por el mundo, vaga solo como el rinoceronte.
Verdaderos amigos son difíciles de encontrar en estos días; una demostración de amistad muy a menudo esconde propósitos personales. La mente del hombre está contaminada por el egoísmo, entonces sintiéndose desilusionado: vaga solo como un rinoceronte.
Como el leon que no tiembla ante cualquier ruido, como el viento que no se aferra a los hilos de la red, como el loto que no se ensucia en el lodo, vaga solo como un rinoceronte.
(Segunda parte de Sutta-nipata (Khaggavisana), el libro sagrado más antiguo del budismo. Pero en su origen no sólo “como el rinoceronte” sino “como un cuerno de rinoceronte” (rinoceronte no tiene dos cuernos sino tiene sólo un cuerno) y falta más frases. Totales son 41 frases.)
수타니파타에 나오는 유명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의 스페인어 번역으로 출처는 http://www.btmar.org/files/fdd/idealdelbodhisatta.htm, 알레한드로 코르도바 번역. 그러나 빠진 부분이 많고 내용이 분명치 않다. “무소의 뿔처럼”이 아니라 “무소처럼”이라 번역되어 있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모든 생명체에 대하여 폭력을 쓰지 말라. 모든 생명체를 그 어느 것 하나도 괴롭히지 말라. 출가수행자는 자녀를 갖고자 하지도 말라. 친구와 함께 있고자 하지도 말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서로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사랑과 그리움이 생긴다. 사람과 그리움에는 괴로움이 따른다. 사랑과 그리움에서 괴로움이 생기는 줄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숲속의 사슴이 마음대로 먹이를 찾아다니듯 지혜로운 사람은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사방으로 돌아다니며 남을 해치려는 생각없이 무엇에든지 만족할 줄 알고 온갖 고난을 이겨 두려움 없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욕망은 실로 그 빛깔이 곱고 달콤하며, 흥을 돋우고, 여러 가지로 마음을 흐트러지게 한다. 욕망의 대상에는 이러한 우환이 있다는 것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욕망이 내게는 재앙이며 종기이고 화다. 병이고 화살이고 공포다. 이렇듯 모든 욕망의 대상에는 두려움이 있다. 이것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물속의 고기가 그물을 벗어난 것처럼, 불이나 다 탄 곳에는 다시 불이 붙지 않는 것처럼, 모든 번뇌의 매듭을 끊어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흙탕물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수타니파타, 작자 미상, 지안 역,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pp. 25-26) <- 이것도 많이 빠진 것, 원본은 41 개 구절인 걸로 알고 있음.
'학술 Mis ensay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멕시코 대선 로페스 오브라도르가 새 대통령으로 (0) | 2018.07.02 |
---|---|
멕시코의 철학자 루이스 비요로 "침묵하지 마시오, 저항은 당신들의 권리입니다" (0) | 2014.12.13 |
페루 경제 관련 홈페이지들 (0) | 2013.05.24 |
유토피아적 사상과 라틴아메리카 (0) | 2012.12.17 |
체 게바라 딸 알레이다 게베라 의사 초청 강연회 부산 2012 12/4 (0) | 2012.12.04 |